대통령이 임기 중 직위를 내려놓는 방식에는 하야와 파면(탄핵 인용)이 있습니다.
두 개념은 법적, 정치적 의미에서 큰 차이가 있으며, 이후 받는 대우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통령 하야와 파면의 차이점 및 이후 대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대통령 하야의 의미
하야(下野)란 대통령이 스스로 직위를 내려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자진 사퇴를 뜻하며, 법적 강제성이 없습니다. 주로 정치적 책임을 지거나 국민의 요구에 따라 대통령이 자발적으로 자리에서 물러날 때 사용됩니다.
대통령 하야 이후 대우
대통령이 하야하면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가 유지됩니다.
- 전직 대통령 연금 지급 (월 약2125 만 원 수준)
- 경호 및 경비 지원
-사무실 및 보좌진 제공
-국립묘지 안장 가능
단, 하야 이후 별도의 법적 처벌을 받을 경우, 전직 대통령 예우가 박탈될 수 있습니다.
2. 대통령 파면의 의미
파면(罷免)은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을 통해 대통령이 강제로 직위에서 해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통령이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했을 경우,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후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거쳐 강제적으로 직을 박탈당하는 조치입니다.
대통령 파면 이후 대우
대통령이 탄핵(파면)될 경우,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모든 예우가 박탈됩니다.
- 전직 대통령 연금 지급 불가
- 경호 및 경비 지원 중단
- 사무실 및 보좌진 제공 불가
- 국립묘지 안장 불가
또한, 탄핵 사유에 따라 형사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향후 공직 진출에도 제한이 따를 수 있습니다.
3. 대통령 하야 vs 파면(탄핵) 차이점 비교
구분 : 하야(자진 사퇴) 와 파면(탄핵)
퇴임 방식 | 대통령이 스스로 사퇴 |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강제 해임 |
전직 대통령 예우 | 유지됨 | 박탈됨 |
연금 지급 | 지급됨 | 지급 불가 |
경호 및 사무실 지원 | 제공됨 | 제공 불가 |
국립묘지 안장 | 가능 | 불가능 |
법적 책임 | 별도 수사 여부에 따라 다름 | 탄핵 사유에 따라 형사 처벌 가능 |
4. 결론: 대통령 하야와 파면 이후 가장 큰 차이는?
결론적으로, 하야는 대통령이 자발적으로 물러나는 것이며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를 받을 수 있지만,
파면(탄핵)은 강제 해임으로 인해 모든 혜택이 박탈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대통령이 심각한 정치적 위기를 맞았을 때, 하야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탄핵이 진행되면 대통령은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자리에서 물러나며,
이후 법적 처벌 가능성도 커지게 됩니다.
'핫 이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오염수, 정화해도 발암물질…한국 영향은?? 천일염 ,액젓 ,젓갈류, 염장식품 사재기 현상 (0) | 2023.06.16 |
---|---|
왜 ? 일본이 바다에 후쿠시마 오염수를 버리려 하는가? (0) | 2023.05.26 |
후쿠시마 오염수의 영향 ,우려되는 문제 (0) | 2023.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