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 마르크스 생애
카를 마르크스(Karl Marx)는 1818년 5월 5일 독일의 프러시아 왕국 라인 주 주도인 트리어(Trier)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유대계 출신의 변호사였으며, 가난한 근로자층 출신인 어머니는 카를이 어린 시절에 죽었습니다.
카를은 보통 교육받았으며, 미친 듯한 열정으로 학업에 몰두했습니다. 17살 때 보노바 대학교(Bonaparte University)에서 법학을 전공하기 시작했으며, 그곳에서 철학에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후 독일의 여러 대학에서 공부하며, 철학, 역사,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1843년 예니 폰 베스트팔렌과 결혼했습니다. 정치성 다분한 저술 활동으로 인해 마르크스는 무국적자 신세로 수십 년 간 영국 런던에서 처자식과 함께 망명 생활을 했습니다. 런던에서 마르크스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합작, 대영박물관 열람실에서 연구하며 주요 저작을 남겼습니다. 그 후 그는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으며, 이를 토대로 1848년 공산당 선언문(Communist Manifesto)을 공동으로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은 공산주의의 기본 원칙을 설명하고, 일각에서는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 후 카를은 런던에서 일하며, 이곳에서 대부분의 작품을 썼습니다. 그는 이후 런던 대학교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하며, 이후 헤겔 철학의 연구와 자기 작품에 대한 출판을 계속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은 다름 아닌 "자본론(Capital)"입니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비판적 분석으로, 경제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책은 현재까지도 많은 인문학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그의 삶은 극도로 가난했지만, 그는 매우 열정적이고 지적인 사람으로, 혁명적인 이론과 역사적 기록으로 세계를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1883년 3월 14일 영국 런던에서 사망했습니다.
대표 철학 사상 -자본론
엥겔스와 카우츠키는 마르크스가 <자본론>에서 제시한 논의는 자본주의의 특정 단계에 대해서만 다루기 때문에 시간이 흘러 자본주의가 변화하면 설명력을 상실한다고 파악했습니다. 현대 주류경제학자들 역시 마르크스의 분석은 19세기에 한해 유효하다는 식으로 비슷한 말을 합니다. 위의 관점은 적어도 마르크스 본인의 견해와는 상충합니다. 마르크스는 <자본론> 제1권 서문에서 자신이 설명하는 내용이 자본주의의 특정한 역사적 단계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고 분명히 밝혔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시간이 흐르며 자본주의가 어느 정도 변화를 겪더라도 그것이 '자본주의'인 한 지속될 수밖에 없는 본질적인 특징을 분석하려는 것이 마르크스의 의도였습니다.
<자본론>의 부제는 '정치경제학 비판'입니다. 여기서 '비판'이 겨냥하는 대상은 경제학의 개별 이론들이 아니라 '정치경제학 전체'입니다. 즉,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경제학의 이러저러한 설명이 이러저러한 이유로 틀렸다는 식으로 말할 의도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자본론>의 목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학이라고 일컬어지는 학문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문제 삼는 것'이었습니다.
애덤 스미스로 대표되는 고전 경제학이나 현대 주류경제학은 가격(가치), 이윤, 생산자, 소비자 같은 현상들을 과학적인 이론으로 설명하려 시도합니다. 이런 시도는 가격, 이윤, 생산자, 소비자 등이 자연과학이 연구하는 중력, 마찰력, 원자, 분자 등과 같이 '객관적/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들이라고 상정합니다. 바로 이 점이 마르크스가 비판한 지점입니다. 마르크스가 보기에 자본주의사회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경제 현상들은 오직 자본주의적인 사회구조 속에서만 그런 형태로(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정리하면, 자연스러운 경제 현상이라고 당연시되는 가격이나 이윤 등부터 의문시하고 이것들이 왜 '자연스러워 보이도록' 존재하는지를 밝혀야 한다는 주장 <자본론> 이<자본론>이 요지입니다.
<자본론>에는 '착시현상'이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표현은 <자본론> 핵심을 담고 있습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사회에서 사회구성원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상품가격이나 이윤지향생산이 '자연화'되는 상황이 경제학자들이 어떤 오류를 저질러서 발생한 것은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오히려 자본주의사회의 구조 속에서 그 구성원들이 일상적으로 행하는 실천들에 연동되어 생겨난 관념이 원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어떤 사진에 담긴 풍경이 착시현상으로 인해 두 가지 모습으로 보인다고 할 때, 관찰자의 눈에는 '실제로' 두 모습이 보입니다. 자본가들이 생산수단(기업체)을 소유하고 노동자들이 임금노동을 하고 개별 작업장들이 대량 생산한 상품들이 시장에 모여 그 가치를 평가받는 사회구조, 즉 자본주의사회에서라면, 가격/이윤/생산자/소비자 등은 '실제로' 자연적인 현상인 듯이 '보인다'. 하지만 착시에 따라 보이는 모습이 사진 속 풍경의 '본질'은 아니듯이, 자본주의라는 시스템 안에서만 나타나는 경제 현상 역시 인간사회의 '본질'은 아닙니다. 이 점을 규명하기 위해 <자본론>은 사회적 필요노동시간, 상품 물신, 화폐 물신 등을 상세하게 논한 것입니다. 이 책에서 그는 자본주의 경제 시스템에서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을 착취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얻는 구조를 분석합니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는 "자본"의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는 자본을 "가치가 자신을 확대하는 프로세스"로 정의합니다. 이것은 자본가들이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노동자들이 생산한 가치의 일부만을 노동 대가로 받아들이고, 나머지는 자본가들의 이익으로 강제로 확대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또한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는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라는 두 계급의 역할이 크게 다루어집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르주아들은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계급으로,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합니다. 반면 프롤레타리아들은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일하고 있는 노동자들로, 부르주아들의 착취 대상이 됩니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산주의를 제시합니다. 그의 이론에서는 공산주의가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의 대립과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합니다.
마르크스 영향
카를 마르크스는 1919세기말에 그의 이론을 통해 혁명과 사회주의를 주장하며, 인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그의 이론은 인류 역사에 대한 이해와 사회 진보를 위한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르크스의 이론은 특히 20세기 초기의 사회주의 운동과 노동자 계급운동과, 러시아 혁명과 중국 혁명 등의 인류 역사상 큰 사건에서도 그의 이론이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여러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그의 이론이 영향력을 끼쳤으며, 현재까지도 여러 분야에서 그의 이론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르크스의 이론은 반대로 다른 이념들과의 갈등과 비판도 받았습니다. 특히 자유주의와 자유시장 경제 이론에 반대하는 요소로 비판받았습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마르크스주의가 비효율적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이론은 그가 열심히 노력한 인류 역사와 사회 진보를 위한 노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이론은 현재까지도 사회, 경제, 정치 분야에서 논의되며, 인류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핵심적인 이론 중 하나입니다.
댓글